티스토리 뷰

볼라틸리티를 이용한 메모리 분석 방법론


침해 사고가 발생해 악성코드 감염이 의심되는 시스템에서 생성한 메모리 덤프 파일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그림 14]와 같은 6단계의 절차를 이용하여 메모리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dsgfg

 

 

 

볼라틸리티를 이용한 각 단계별 분석 과정과 주요 프레임워크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1) 운영체제 분석

 

메모리 덤프 파일을 생성한 운영체제가 어떠한 버전의 운영체제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단계에서 확인한 운영체제 버전에 따라 향후 이루어지는 메모리 분석의 방향과 분석에 적용될 볼라틸리티의 명령어가 다르게 사용될 수 있다.

 

 imageinfo - 생성한 메모리 덤프 파일의 운영체제, 서비스 팩(Service Pack)과 하드웨어 정보 나열

 

 

2) 프로세스 분석


윈도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악성코드는 다른 일반적인 윈도우 프로그램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악성코드 역시 자신의 코드를 메모리에 적재한 후에 자신의 프로세스와 쓰레드를 생성하여야만 실행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확보한 메모리 덤프 파일에서 실행 중이거나 은폐된 프로세스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분석한다.
     
 pslist - 실행 중인 프로세스 정보 나열


 psscan - 실행 중인 프로세스 정보와 함께 이미 종료된 프로세스 정보 나열


 psxview – pslist 및 psscan에서 확인한 프로세스 정보를 비교하여 나열함으로써, 은폐된 프로세스 정보 획득

 

 pstree - pslist와 유사한 정보를 보여주나 부모(Parent) 프로세스와 자식(Child Process) 프로세스 간의 상관 관계 나열
 

 procexedump – 프로세스의 메모리 영역에서 빈 공간(Slack space)를 포함하지 않고 바이너리(Binary) 형태로 추출

 

 volshell – 메모리 덤프 파일 분석 시에 Windbg와 유사한 명령 형식으로 분석

 

 

3) 네트워크 정보

 

최근 발견되는 대부분의 악성코드는 감염된 윈도 시스템에서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을 시도한다. 특히 침해 사고에서 많이 발견되는 원격 제어 형태의 악성코드는 메모리 덤프 파일 내부에서 공격자가 접속한 원격 시스템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connections –활성화 상태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 나열 (Windows XP, Windows 2003 Server 만 사용 가능)


 connscan - 활성화 상태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함께 이미 종료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도 나열 (Windows XP, Windows 2003 Server 만 사용 가능)

 netscan – 활성화 상태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보여주나 윈도 비스타와 7 그리고 윈도 2008 서버에서만 사용 가능

 

 

4) DLL 및 쓰레드 분석

 

일부 악성코드의 경우에는 특정 프로세스에 자신이 생성한 DLL 파일을 인젝션(Injection) 하거나 특정 시스템 프로세스의 특정 메모리 쓰레드 영역에 자신의 코드를 삽입하는 경우가 있다.

 

 dlllist - 특정 프로세스에서 로드 한 DLL의 정보 분석


 ldrmodules - 특정 프로세스나 DLL에 의해 은폐된 DLL 정보 분석


 dlldump - 특정 프로세스에서 로드한 DLL을 바이너리 형태로 추출


 Malfind – 사용자 모드 형태로 은폐되어 있거나 인젝션된 코드 또는 DLL 정보 분석


 apihooks – 사용자 및 커널 모드에서 API 후킹 정보 분석

 

 

5) String 분석

 

악성코드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시스템에서 생성한 메모리 덤프 파일에 존재하는 특정 프로세스의 메모리 영역 전체 또는 인젝션된 DLL 및 쓰레드 영역을 바이너리 형태로 추출한다. 그 이후 바이너리 형태로 추출해 낸 파일에서 악성코드와 관련된 문자열 및 관련 IP 주소 등을 검색 할 수 있다.

 

 yarascan - YARA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 커널 모드 메모리 영역에 포함된 바이트(Byte) 순서, ANSI 및 유니코드 (Unicode) 문자열 검색


 string – 문자열 검색을 위해 백트랙에 기본적으로 포함된 프로그램

 

 

6) 레지스트리 분석

 

일반적으로 악성코드는 감염된 윈도 시스템이 재부팅 되더라도 자동으로 재시작하기 위해 윈도 레지스트리(Windows Registry) 영역에 특정 키(Key)를 생성하거나 특정 값(Value) 등을 변경한다. 그러므로 메모리 덤프 파일 내부에 남아 있는 레지스트리 관련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악성코드로 의심되는 파일을 추출할 수 있다.

 

 printkey - 특정 레지스트리 키에 포함되어 있는 하위 키(Subkeys) 값과 데이터를 검색하여 나열

 

 userassist – 메모리 덤프 파일에서 UserAssist 관련 레지스트리 키 정보 추출


출처  :   http://www.ahnlab.com/kr/site/securityinfo/secunews/secuNewsView.do?seq=22109



'포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mory Forensic] Make Volatility Plugin  (0) 2015.10.22
[FTK Imager] 이미징 방법  (0) 2015.08.15
Win7 환경에서 논리적 쓰기방지.  (0) 2015.06.29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