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7 환경에서 논리적 쓰기방지.
사본 이미지를 생성하기 전에 물리적 쓰기 방치가 없는 경우에는 논리적 쓰기 방지 장치로 진행해야 한다.
여기서 논리적 쓰기 방지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의 3가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1. 레지스트리를 이용한 방법
1-1. 실행 창에 'regedit' 입력
1-2. HKLM\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 경로에 들어가서 StorageDevicePolicies 키 값을 새로 만든다. ### 한글자라도 틀리면 안 된다.
1-3. StorageDevicePolicies 키 값 생성
1-4. StorageDevicePolicies 키 값을 누르고 오른쪽 화면에서 DWORD 값을 누른다.
1-5. WriteProtect 이름으로 생성하여 값 데이터를 1로 변경한다.(0으로 줄 시에 쓰기 방지 장치가 해제됨)
1-6. WriteProtect 값을 1로 주고 나서 usb를 꼽고 파일을 옮기려는 순간, 쓰기방지 장치가 작동하면서 경고창이 뜬다.
2. 휴지통 링크 파일 생성 X
'파일을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삭제할 때 바로 제거'를 통해서 링크 파일을 생성하지 못 하도록 설정함.
3. 자동 실행 방지
usb를 꼽으면 바로 실행되어서 데이터가 변조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제어판> 자동 실행 에서
'모든 미디어 및 장치에 자동 실행 사용' 을 체크 해제 해야한다.
이 세 가지를 완료 하고 USB를 꼽으면 안전하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징이 분석중에서 제일 중요하니, 이 단계를 거치지 않고 분석관이 조심하게 사용하면 되지만, 혹시나 라는게 있으니! 안전 예방 차원에서 설정하고 하는 것이 마음이 편할 것이다.